티스토리 뷰

728x90

목차

     

    오늘은 좋은 소식을 전해드릴게요. 청년도약계좌 신청이 다시 시작됐답니다! 이번에는 KB국민은행, 신한은행, 하나은행, 우리은행, NH농협 등 11개 은행에서 가입할 수 있습니다.

    청년도약계좌는 5년간 매월 70만 원씩 저축하여 최대 5000만 원을 모을 수 있는 좋은 금융상품입니다. 이번에는 비대면 신청이 가능하며, 19세부터 34세까지의 청년들이 대상입니다. 병역 이행 기간 최대 6년은 연령 계산에서 제외됩니다.

    가입 신청자는 은행 앱에서 연령 요건과 금융소득종합과세자 여부 등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개인소득 기준으로 가입 가능 여부를 확인하며, 총급여가 6000만 원 이하라면 정부의 기여금 및 비과세 혜택을 받을 수 있습니다. 총급여가 6000만 원에서 7500만 원 사이라면 정부의 기여금 없이 비과세 혜택만을 받을 수 있습니다.

    또한 가구 소득 기준으로는 지난해 기준으로 가구 구성원(배우자, 부모, 자녀, 미성년 형제자매)의 소득을 합한 것이 중위소득의 180% 이하이어야 합니다. 가입 대상에 충족되지 않는 청년들은 서민금융진흥원에서 알림톡이 발송됩니다.

    청년들의 미래를 위해 좋은 기회인 청년도약계좌를 꼭 활용해보세요! 이번에는 비대면 신청이 가능하니까, 편리하게 신청하실 수 있을 거예요. 은행 앱에서 확인하고 바로 신청해 보세요. 좋은 결과 있기를 기원합니다!

    2023년의 중위소득은??

    1인가구부터 6인가구까지 가구별 중위소득 입니다.

      2020 2021 2022 2023
    1인가구 1,757,194 1,827,831 1,944,812 2,077,892
    2인가구 2,991,980 3,088,079 3,260,085 3,456,155
    3인가구 3,870,577 3,983,950 4,194,701 4,434,816
    4인가구 4,749,174 4,876,290 5,121,080 5,400,964
    5인가구 5,627,771 5,757,373 6,024,515 6,330,688
    6인가구 6,506,368 6,628,603 6,907,004 7,227,981

    중위소득은 국가에서 정한 기준으로, 교육급여, 주거급여, 의료급여, 생계급여 등의 급여 지원을 받을 때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이러한 급여들은 중위소득의 일정 비율로 지급되기 때문입니다.

    예를 들어, 교육급여는 중위소득의 50%를 기준으로 지급됩니다. 주거급여는 47%, 의료급여는 40%, 생계급여는 30%를 기준으로 받을 수 있습니다. 이러한 급여들은 세전 금액을 기준으로 계산됩니다.

    중위소득 확인하는 방법


    중위소득 확인 방법은 간단합니다.

    복지로 홈페이지(바로가기)에 접속하여 상단의 복지서비스 - 모의계산 - 국민기초생활보장을 클릭한 후, 기본정보 및 소득 재산 정보를 입력하면 됩니다.

    이 과정을 거치면 나의 소득이 중위소득의 몇 % 인지 모의로 계산해 줍니다. 정확한 결과를 얻기 위해서는 소득 정보를 정확히 입력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따라서, 자주 체크하여 정보를 업데이트하는 것이 좋겠습니다.

    지난 6월 중 가입 신청자는 76만 1000명이 가입 신청을 하였으며, 그중 25만 3000명의 청년들이 7월 21일까지 계좌 개설을 완료하였습니다. 가입 심사가 통과된 분들은 이번 달 7일부터 18일까지 계좌를 개설할 수 있습니다. 또한, 지난달 27일 기획재정부는 '2023년 세법 개정안'을 통해 청년도약계좌 가입 요건을 완화하는 방안을 발표했습니다. 이제는 소득이 없거나 비과세 소득만 있는 경우에도 육아 휴직 중인 경우라면 저축 지원 금융상품에 가입할 수 있도록 조정되었습니다. 청년도약계좌는 저축성 보장성 상품으로, 연 2%의 고정 금리와 세제 혜택 등 다양한 혜택을 제공합니다. 따라서, 청년들에게 매우 유용한 금융상품입니다. 하지만, 자신의 중위소득을 확인하고 계좌 개설을 완료하지 않으면 혜택을 받을 수 없습니다. 따라서, 청년 여러분은 지금 바로 중위소득 확인 및 계좌 개설을 완료하여 혜택을 받으세요!

    728x9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