티스토리 뷰

728x90

안녕하세요!

청년 도약계좌에 대한 정보를 정리해봤습니다. 이제는 최대 5천만원까지 모을 수 있게 되었으니, 많은 청년들이 이용하시면 좋겠네요.

가입 대상은 만 19세 ~ 34세 이하 청년이며, 병역기간 최대 6년을 제외하고 대상입니다. 개인소득이 연 7,500만원 이하이고, 가구소득 중위소득 180% 이하인 분들이 가입할 수 있습니다. 또한, 6,000~7,500만원 대역은 비과세 혜택만 부여됩니다.

청년 도약계좌는 청년들의 미래를 위한 좋은 선택일 것 같습니다.

적금 방식

월 최대 70만원 이하 자유적립식으로 만기 후 이자는 비과세입니다. 또한, 정부지원금은 개인소득에 따라 차등 지원되며 월 21,000원 ~ 24,000원의 금액으로 지원됩니다. 가입기간은 5년이며 적금당배대출 운영 예정입니다.

모든 은행에서 최대 금리를 6%로 맞췄으며 우대금리 포함입니다.

우대금리 조건을 확인 후 자신에게 맞는 은행에서 적금을 만드시면 됩니다.

청년도약계좌 은행별 금리        
은행명 기본금리(3년 고정) 소득 우대금리 최대 은행별 우대 금리 적금담보대출 가산금리
농협 4.5% 0.5% 1.0% +0.9%
신한 4.5% 0.5% 1.0% +1.0%
우리 4.5% 0.5% 1.0% +1.0%
하나 4.5% 0.5% 1.0% +1.0%
국민 4.5% 0.5% 1.0% +1.25%
기업 4.5% 0.5% 1.0% +0.6%
전북 3.8% 0.5% 1.7% +1.3%
광주 3.8% 0.5% 1.7% +1.2%
대구 4.0% 0.5% 1.5% +1.0%
부산 4.0% 0.5% 1.5% +1.0%
경남 4.0% 0.5% 1.5% +1.2%

농협은행

  1. 급여 이체 실적이 50만원 이상인 경우 최대 0.5%의 우대금리를 받을 수 있습니다. 또한, 마케팅 정보 수신에 전체동의하면 0.2%의 우대금리를 추가로 받을 수 있습니다.
  2. NH카드(신용,체크)를 월 평균 20만원 이상 사용하면 0.2%의 우대금리를 더 받을 수 있습니다. 이는 일상 소비를 할 때마다 더 많은 혜택을 받을 수 있도록 도와주십니다.
  3. 농협은행에서는 청약 가입 또는 청년희망적금 만기해지 중 하나를 선택하면 0.1%의 우대금리를 추가로 받을 수 있습니다.
  4. 농협은행에서는 기본 금리인 4.5%에 소득 우대금리 최대 0.5%와 은행별 금리 최대 1.0%까지 추가로 받을 수 있습니다.

신한은행

  1. 급여 이체 실적이 50만원 이상이며 30개월 이상 이체한 고객들은 0.3%의 우대금리를 받을 수 있습니다. 이는 다른 은행들과 비교해도 높은 수준이며, 급여를 신한은행으로 이체하는 고객들에게는 매우 유익한 혜택이 될 것입니다.
  2. 또한, 신한카드를 월평균 1원 이상 사용한 고객들도 0.3%의 우대금리를 받을 수 있습니다. 이는 신한은행과의 거래가 활발한 고객들에게는 더욱 큰 혜택이 될 것입니다.
  3. 그리고, 직전 1년간 신한은행 예적금(청약) 미보유자들은 0.4%의 우대금리를 받을 수 있습니다. 이는 신한은행과 처음 거래를 시작하는 고객들에게는 매우 유익한 혜택이 될 것입니다.
  4. 마지막으로, 기본 금리는 4.5%이며, 소득 우대금리 최대 0.5%, 은행별 금리 최대 1.0%까지 추가로 받을 수 있습니다. 이러한 혜택들을 모두 합치면 최대 6%까지의 우대금리를 받을 수 있습니다.

우리은행

  1. 급여 이체 실적이 50만원 이상이고 30개월 이상 이체하시는 경우에는 1.0%의 우대금리를 받을 수 있습니다.
  2. 우리카드를 사용하시는 경우에도 우대금리를 받을 수 있습니다. 월 10만원 이상 사용하시는 경우에는 0.5%의 우대금리를 받을 수 있습니다.
  3. 그리고, 직전 1년간 우리은행 예적금(청약) 미보유자인 경우에도 0.5%의 우대금리를 받을 수 있습니다.
  4. 마지막으로, 기본 금리는 4.5%이며, 소득 우대금리 최대 0.5%, 은행별 금리 최대 1.0%까지 추가로 받을 수 있다.

하나은행

  1. 급여 이체 실적이 50만원 이상이거나 36개월 이상 이체한 경우 0.6%의 우대금리를 받을 수 있습니다. 또한 마케팅 정보 수신에 동의하면 0.1%의 우대금리를 추가로 받을 수 있습니다.
  2. 하나카드를 사용하시는 경우에도 우대금리를 받을 수 있습니다. 신용카드나 체크카드를 월 10만원 이상 사용한 경우 0.2%의 우대금리를 받을 수 있습니다.
  3. 그리고 직전 1년간 하나은행 예적금(청약) 미보유자는 0.1%의 우대금리를 받을 수 있습니다.
  4. 기본 금리는 4.5%이며, 소득 우대금리 최대 0.5%와 은행별 금리 최대 1.0%까지 추가로 받을 수 있습니다.

국민은행

  1. 급여 이체를 통해 실적을 보이시는 분들께는 0.6%의 우대금리를 적용해 드립니다. 이를 위해서는 50만원 이상의 급여 이체가 36개월 이상 이어져야 합니다.
  2. 또한, 자동이체를 2건 이상 신청하거나 리브엠 요금을 36개월 이상 유지하시는 경우에도 0.3%의 우대금리를 적용해 드립니다.
  3. 주택청약 신규가입 또는 청년희망적금 만기해지를 하시는 경우에도 0.1%의 우대금리가 적용됩니다.
  4. 이외에도 국민은행에서는 기본 금리 4.5%에 소득 우대금리 최대 0.5%와 은행별 금리 최대 1.0%까지 적용하여 고객님들께 더욱 많은 혜택을 드리고 있습니다.

기업은행

  1. 급여 이체 실적이 50만원 이상이며 36개월 이상 이체된 고객들에게는 0.6%의 우대금리를 제공합니다. 이 조건을 충족하면서 기업은행의 예금 상품을 이용하시는 고객들께는 더욱 많은 이익이 있을 것입니다.
  2. 마케팅 정보 문자 수신에 동의하신 고객들에게는 0.1%의 우대금리를 제공합니다. 이 조건은 금융 상품의 안내나 이벤트 등 다양한 정보를 받으실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하는 것과 동시에 더욱 많은 혜택을 누리실 수 있도록 도와드립니다.
  3. 기업카드 사용 실적이나 자동이체 2건 이상을 충족하신 고객들에게는 0.2%의 우대금리를 제공합니다. 이 조건을 충족하면서 기업은행의 다양한 금융 상품을 이용하시는 고객들께는 더욱 많은 혜택이 주어집니다.
  4. 실명등록일이 3개월 이내이거나 수신금액이 0원인 고객들에게는 0.3%의 우대금리를 제공합니다. 이 조건을 충족하시면서 기업은행의 예금 상품을 이용하시는 고객들께는 더욱 많은 혜택이 주어집니다.
  5. 기본 금리인 4.5%에 소득 우대금리 최대 0.5%와 은행별 금리 최대 1.0%까지 추가되면서, 기업은행의 예금 상품은 다른 금융 기관들과 비교할 때 더욱 유리한 조건을 제공합니다.

전북은행

  1. 급여 이체 실적이 높은 고객님들께는 0.7%의 우대금리를 제공합니다. 이를 받으시려면 50만원 이상을 36개월 이상 이체하셔야 합니다.
  2. 또한, 마케팅 동의를 하시면 0.2%의 우대금리를 받으실 수 있습니다. 더불어 자동이체를 월 1건 이상 하시면 0.3%의 우대금리가 적용됩니다.
  3. 전북은행에서 발급하는 카드를 사용하시는 경우에도 우대금리를 받으실 수 있습니다. 전북은행카드를 1원 이상 30개월 이상 사용하시면 0.5%의 우대금리를 받으실 수 있습니다.
  4. 기본 금리는 3.8%이며, 소득 우대금리 최대 0.5%, 은행별 금리 최대 1.7%까지 적용되어 최대 6%까지의 우대금리를 받으실 수 있습니다.

광주은행

  1. 급여 이체 실적이 50만원 이상이며 36개월 이상 이체한 고객님들께는 0.5%의 우대금리를 제공하고 있습니다. 또한, 광주은행 카드를 신용 또는 체크로 총 500만원 이상 사용하신 고객님들께도 0.5%의 우대금리를 제공합니다.
  2. 그리고, 직전 1년간 광주은행 예적금을 미보유하신 고객님들께도 0.5%의 우대금리를 제공하고 있습니다. 마지막으로, 해지지원금이 3천만원 이상인 만기해지 상품에 대해서는 0.2%의 우대금리를 제공합니다.
  3. 기본금리는 3.8%이며, 소득 우대금리는 최대 0.5%까지 제공됩니다. 또한, 은행별 금리 중 최대 1.7%까지 우대금리를 제공하고 있습니다.

대구은행

  1. 마케팅 수신을 신청하시면 0.3%의 우대금리를 받으실 수 있습니다. 또한 자동이체를 신청하시면 0.7%의 우대금리를 더 받으실 수 있습니다. 주택청약을 하시는 경우에도 0.5%의 우대금리를 받으실 수 있습니다.
  2. 기본금리는 4.0%로 설정되어 있습니다. 하지만 소득 우대 금리를 신청하시면 최대 0.5%의 우대금리를 받으실 수 있습니다. 또한 은행별 금리를 비교하셔서 최대 1.5%의 우대금리를 받으실 수도 있습니다.

부산은행

  1. 급여 이체 실적이 50만원 이상이면서 30개월 이상 이체한 고객들에게는 0.5%의 우대금리를 적용해 드립니다. 또한, 직전 3년간 예적금을 미보유하신 분들에게는 0.5%의 우대금리를 추가로 제공해 드리며, 카드 사용 실적이 높은 분들에게도 0.5%의 우대금리를 적용해 드립니다.
  2. 이외에도 부산은행에서는 기본금리 4.0%에 소득 우대금리 최대 0.5%를 더하여 은행별 금리 최대 1.5%의 우대금리를 제공하고 있습니다.

경남은행

  1. 급여 이체 실적이 높을수록 높은 우대금리를 받을 수 있습니다. 50만원 이상, 30개월 이상 이체하시는 경우 0.7%의 우대금리를 적용합니다.
  2. 또한, 직전 1년간 예적금을 미보유하신 분들은 0.4%의 우대금리를, 주택청약을 보유하신 분들도 0.4%의 우대금리를 받으실 수 있습니다.
  3. 기본금리는 4.0%로 설정되어 있으며, 소득 우대금리를 최대 0.5%까지 받으실 수 있습니다. 또한, 경남은행의 은행별금리는 최대 1.5%까지 적용됩니다.

청년도약계좌 상품 설명

출시 첫 주는 5부제 시행!

 
15일(목)  88년생 93년생 98년생 03년생
16일(금)  89년생 94년생 99년생 04년생
19일(월)  90년생 95년생 00년생 05년생
20일(화) 91년생 96년생 01년생  
21일(수)  92년생 97년생 02년생  

6월22일부터는 5부제 없이 자유롭게 가입이 가능하며, 매월마다 신청자를 받습니다.

또한, 청년희망 적금 가입자는 만기 후에 가입이 가능합니다.

 

이번 기회를 놓치지 마시고, 지금 바로 청년도약계좌 가입 신청을 해보세요.

 

 

728x90